"이것이 코딩테스트다" 책 문제 _ 구현 문제
문제)
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x8 좌표 평면이다.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 있다.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. 나이트는 특정한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.
-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
-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
이처럼 8x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ㅏ시오.
이때 왕실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,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h로 표현한다.
입력 조건
- 첫째 줄에 8x8 좌표 평면상에서 현재 나이트가 위치한 곳의 좌표를 나타내는 두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된다. 입력 문자는 a1처럼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다.
출력 조건
- 첫째 줄에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시오
입력 예시) a1 |
출력 예시) 2 |
풀이)
행은 숫자로 받지만 열은 문자로 받으므로 아스키 코드를 이용해서 숫자로 만들어준다.
문제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 였지만 수평으로 양 옆 이동, 수직으로 위 아래 이동을 모두 다 합하면 각 가짓수마다 4가지 이동 경우의 수가 나온다. 총 8가지 이므로 이것을 moving이라는 2차원 list로 저장해준다.
주어진 위치에서 모든 moving에 대하여 next_row, next_col에 각각 다음 행, 다음 열 위치를 저장해준다.
그리고 다음 위치가 8x8 체스판에서 벗어나는지만 확인해주고 count를 늘려주면 완료된다.
이 문제는 시뮬레이션 문제로 볼 수 있겠다.(주어진 이동 방법이 있으므로)
location = input()
row = int(location[1])
col = ord(location[0])-ord('a')+1
moving = [[2, 1], [2, -1], [-2, 1], [-2, -1], [1, 2], [1, -2], [-1, 2], [-1, -2]]
count = 0
for move in moving:
#next = [row, col] + move
next_row = row + move[0]
next_col = col + move[1]
if next_row >= 1 and next_row <= 8 and next_col >= 1 and next_col <= 8:
count += 1
print(count)
코드를 작성하다가 실수한 부분이 있었는데, list + list를 할 경우엔 list가 합쳐진 결과가 나온다.(ex: [1, 1] + [0, -1] = [1, 1, 0, -1])
각 요소가 더해진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는 점!!! 기억하자!!!
'코테 > Implementation(구현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mplementation] 백준 20207 달력 (0) | 2022.06.06 |
---|---|
[Implementation] 게임 개발 (0) | 2022.04.26 |
[Implementation] 시각 (0) | 2022.03.21 |
[Implementation] 상하좌우 (0) | 2022.03.17 |
[Implementation] 이론 (0) | 2022.03.17 |